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보건증 인터넷 발급

by remoni 2020. 1. 17.

보건증 인터넷 발급 




일반적으로는 요식업 등에 종사하거나 아르바이트를 하게 되면 꼭 보건증을 만들어야 한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꼭 이렇게 일을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어린이집 급식봉사 등을 하기 위해서도 즉 학부모 급식 도우미를 해야하는 등에서도 보건증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우선은 보건소에 가셔서 검사를 받아야 하는데요 검사 후 약 1주일 정도 지나서야 받을 수 있으니 미리미리 준비해 놓으셔야 합니다. 그러면 보건증 받기 위한 준비과정과 준비해야 할 것은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1주일 정도 지난 후 증을 받을 수 있는 방법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여성분들 경우 생리하는 도중에 검사를 받아야 할 경우 좀 꺼림칙한 느낌이 들기도 하는데 사실 생리중 보건증 만드는데는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생리할 때라고 좀 이 시기를 피해야하나 생각할 수 있는데요, 별 상관없으니 필요할 때 사용하기 위해서는 약 1주일에서 열흘 정도 시간 남겨놓고 꼭 보건소 가서 검사를 받아놓기 바랍니다. 

다만 여기서도 예외가 되는 경우는 있습니다. 유흥업소에서 필요한 경우는 STD검사와 클라미디아 검사를 하게 되는데 이 때는 생리 후 최소 3일이 지난 후에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하면 되겠습니다. 

건강진단결과서 즉 보건증 발급 신청서에는 업종이 4가지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마트와 식당 등의 식품분야, 초중고 학교급식 폐결핵 포함 또는 폐결핵 제외, 나이트클럽, 노래클럽등 유흥분야로 나눕니다. 자신이 해당되는 부분에 체크를 합니다. 




신분증 즉 주민등록증이나 여권, 운전면허증 또는 청소년증 본인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과 발급비용인 3000원을 준비해서 가까운 보건소 찾으면 됩니다. 

보건소마다 순서는 다를 수 있는데 면봉이 들어있는 플라스틱 통을 받아서 항문면봉검사를 합니다. 이것 때문에 생리중 여성들은 보건증 발급 검사때 신경이 쓰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생리할 때 항문에서 생리혈이 나오는 것은 아니니 신경쓰지 말고 면봉을 항문에 살짝 넣었다가 빼고 통안에 넣어서 제출합니다. 

보건증 발급 위한 순서 중 X선 촬영을 해야합니다. 접수증과 신분증을 지참하고 엑스레이 사진을 찍으면 이제 끝입니다. 방사선실과 임상병리실 등에서 검사를 받았다는 검사항목이 적힌 서류를 받으면 됩니다. 

인터넷 발급 못하는 상황이라면 검사 받은 본인이 직접 찾을 경우는 신분증만 있으면 되지만 대리인이 받을 경우는 검사자 신분증과 자필서명된 검사자 위임장, 대리인신분증 가지고 가야만 받을 수 있습니다. 



공공보건포털 G-health 홈페이지에서는 보건소나 의료원 등의 공공보건의료기관을 통한 검사일 경우만 보건증 인터넷 발급 가능합니다. 그리고 본인확인을 위해 공인인증서 또는 휴대폰, 아이핀, 디지털원패스 등이 필요합니다. 

공공보건포털 홈페이지에서 건강진단결과서 (구, 보건증 ) 이라 적힌 부분을 클릭하고 들어갑니다. 


미리 보건소에 들려서 검사를 받은 후 약 1주일 정도 지난 후 다시 또 보건소를 찾을 필요없이 집에서 바로 인터넷 발급 받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공공보건포털에서 이런 식으로 발급이 가능한 증명서는 건강진단결과서 즉 보건증 비롯해 국문과 영문으로 된 건강진단서와 채용신체 검사서, 국문과 영문의 예방접종증명서, 진료비 납입증명서 총 7종류입니다. 




보건증 인터넷 발급 위한 첫번째 과정입니다. 우선 개인정보 수집동의에 동의 체크하고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합니다. 그리고 본인 인증 위한 네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저는 공인인증서 본인확인 선택했습니다.

공인인증서 암호를 입력한 후 확인 누르고 다음 과정으로 넘어갑니다. 




공공의료포털에서 인터넷 발급 받을 수 있는 총 7가지 종류의 제증명서류 중에서 우리가 선택할 것은 건강진단결과서 라는 이름으로 바뀐 보건증 입니다. 저는 사실 보건소 가서 검사를 받은 일이 근래에는 없어서 조회데이터가 없습니다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건소에서 검사를 받았는데도 조회 데이터가 없다고 나올 경우는 보건소에 직접 문의를 해 봐야 합니다. 판정유무에서 정상인 증명서만 조회가 된다고 합니다. 그렇다고 자신은 어떤 병이 있는 것이 아닐까 미리 겁내지는 마세요. 보건기관에 등록된 이름과 주민등록번호가 일치하지 않거나 제증명 유효기간이 만료되어 인터넷으로 발급 불가할 수도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