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간이과세자 기준 상향될까

by remoni 2020. 5. 6.

간이과세자 기준 상향될까 




현행 간이과세자 기준은 직전 연도의 매출액이 4,800만원 미만입니다. 하지만 예외가 있기도 하는데 부동산매매업, 부동산 임대업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그리고 이 간이과세자 기준 상향 등이 계속적으로 논의되고 있기도 합니다. 오늘은 좀 더 자세히 일반과세자와 다른 이 간이과세자 기준 그리고 예외대상은 어떤 것이 있는지 기준이 달라진다면 어떻게 되는지도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조그마한 가게나 통신판매업 등 자신의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사업자등록을 해야 합니다. 사업자등록을 하게 될 때 간이과세자 그리고 일반과세자로 구분하게 되는데 세금납부 시 이들을 가장 빠르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은 연매출 4,800만원입니다. 




이 연매출이 4800만원 미만인 경우는 사업규모가 영세한 것으로 판단해 간이과세자 해당되면서 부가가치세도 부담이 덜해지고 부가세 신고 또한 간편합니다. 이 외에도 여러 혜택을 받을 수 있는만큼 해당 기준 또한 연매출 외에도 더 적용됩니다. 

현행 간이과세자 기준 살펴본다면 가장 기본은 역시 위에서도 이야기한대로 연매출 4800만원 미만입니다. 또한 간이과세 배제 업종, 지역이 아니어야 합니다. 

간이과세자 해당되면 매출세액은 공급대가 x 업종별 부가가치율 x10%, 세금계산서 발급 안되며 매입세액 x 업종별 부가가치율로 매입세액을 공제하며 음식점업과 제조업은 의제매입세액공제됩니다. 

그리고 광업, 제조업, 도매업, 전문직 사업자, 다른 일반과세 사업장을 이미 보유하고 있는 사업자와 부동산 매매업, 과세유흥장소 및 지역을 간이과세 배제기준으로 하고 있어 이에 해당되는 사업자는 간이과세자 될 수 없습니다. 

일반과세자는 10% 세율이 적용되지만 간이과세자 경우는 0.5~3% 정도로 세율이 낮습니다. 하지만 다 좋은 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매입세액의 5~30%만 공제 받을 수 있고 세금계산사도 발급할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간이과세자 되면 부가가치세 환급을 받을 수는 없습니다. 일반과세자의 부가가치세는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을 차감해서 납부하는 반면 간이과세자의 부가가치세는 매출액 x 부가가치율 x 10% - 공제세액(세금계산서상 매입세액 x 부가가치율) 공식으로 납부세액이 산출됩니다. 




간이과세자는 일반과세자에 비해 월씬 부담이 적은 부가가치세를 납부하기 때문에 환급도 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바로 최종소비자를 상대로 하면서 연간 매출액이 4800만원 미만일 것이라고 생각된다면 간이과세자로 사업자등록을 하는 것이 좋지만 만약 초기 시설비용 등 여러가지로 초기부담금액이 크다면 일반과세자로 등록을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한번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 선택해서 사업자등록 한다고 끝까지 그것을 유지해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처음에는 간이과세자 등록을 해도 사업이 번창하면서 연 매출액이 기준을 넘어서거나 하면 그 다음해 7월부터는 일반과세자로 전환됩니다. 

계속 이야기가 나오는 것 중 하나인데 연간 매출액 4800만원 기준으로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구분하는데 이 기준 금액을 1억4000만원으로 상향할 것인지에 대한 의논도 있습니다. 

간이과세자 기준인 연매출액 4800만원으로 책정된 것이 1999년이므로 그동안의 물가 상승 등을 이유로 상향해야 한다는 말도 있습니다만 아직 확실하게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이번 총선때 이 간이과세자 기준 확대 공약이 많았던만큼 결론이 어느 방향으로든 날 것 같기는 합니다. 

간이과세자 기준 확대되는 경우 지금은 연간매출액이 4800만원 이상이지만 1억4000만원 미만인 일반과세자도 간이과세자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부가가치세율이 낮아지면서 세금 부담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댓글